jinja는 서버에서 보낸 데이터를 html 문서에서 나타낼 때 쓰이는 일종의 템플릿 언어다. 문법은 전반적으로 파이썬과 유사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사용법을 어렵지 않게 익힐 수 있다.
오늘은 for문을 사용하다가 break를 사용할 일이 생겨서 사용법을 정리해 본다. break는 보통 for문과 같은 반복문에서 중도 탈출할 때 사용되는 문법이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break의 용도는 알고 계실 것이라 생각하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우선 jinja에서 break를 사용하려면 extension을 추가해줘야 사용할 수 있다. flask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다면 app = Flask(__name__)과 같은 코드가 파이썬 문서 상단에 있을 것이다. 그 코드 아래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해줘야 한다.
app.jinja_env.add_extension('jinja2.ext.loopcontrols')
위 코드를 추가했다면 이제 html 문서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break를 사용할 수 있다.
{% for temp in data %}
{% if temp['nation'] == 'korea' %}
<p>{{ temp['nation'] }}</p>
{% break %}
{% endif %}
{% endfor %}
각자의 상황에 맞게 for문 내에 break를 넣어주면 된다.
'코딩 > fla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k+jinja2] 반올림하기, round 필터 (0) | 2022.03.19 |
---|---|
[flask+jinja2] 서버에서 받은 html 요소가 html 문서에서 제대로 표현되게 하려면? (0) | 2022.02.06 |
[flask+jinja2] break 사용하기 (2) | 2022.02.05 |
[flask] rows에서 각 row가 몇 번째 것인지 보여주고 싶다면? (0) | 2021.05.15 |
[flask] 구름 IDE의 항상 켜두기 기능을 이용해서 flask 웹 서버 구동하기 (0) | 2021.03.29 |
[flask+jinja2] 행 개수 세기, 문자열 길이 산출하기, length 필터 (0) | 2020.12.18 |
[flask+jinja2] 중복되는 html 처리, {% include %} 사용 (6) | 2020.12.09 |
[flask] flask로 웹 어플리케이션 만들기 (코로나19 오늘 확진자 수 알림)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