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로그를 담고 있는 파일은 금방 몇 만줄, 몇 십만줄의 내용이 쌓인다. vim을 이용해서 이러한 문서를 열고 나서 한 줄씩 또는 한 페이지씩 넘겨서는 문서의 최하단으로 이동하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
vim에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해주는 단축키가 물론 있다.
shift + g 문서의 끝으로 이동
Bottom에 도달했다는 것을 vim UI의 우측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문서의 최상단으로 바로 이동시켜주는 단축키도 있다.
gg 문서의 시작으로 이동
이번에는 Top에 도달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im의 단축키 세계는 매우 방대하지만 자주 쓰는 것만 익혀두면 된다.
반응형
'PC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IDE] 컨테이너 실행했는데 하단에 터미널이 안 보이는 경우 (0) | 2022.05.06 |
---|---|
[vim] vim에서 문서의 시작, 문서의 끝으로 바로 이동하려면? (6) | 2022.02.20 |
[우분투] 서비스 실행 상태 확인 명령어 (0) | 2022.01.11 |
[리눅스] root 패스워드 변경하는 법 (1) | 2021.07.15 |
[리눅스] 리눅스에서 공인 IP 주소 알아내는 법 (5) | 2021.07.14 |
[centos7] "~은(는) sudoers 설정 파일에 없습니다" 출력될 때 대처법 (4) | 2021.06.17 |
[centos7] 사용자 계정 추가 및 삭제 방법 정리 (1) | 2021.06.16 |
[우분투] 우분투(ubuntu) 버전 확인 명령어 (0) | 2021.03.31 |
우분투에 파이참(PyCharm) 설치하는 방법 (1) | 202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