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중계를 보다보면 캐스터들이 "543 병살", "643 병살로 이닝 종료됩니다" 등의 멘트를 하는 것을 들으신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병살은 알겠는데 앞에 숫자들은 도대체 뭐지?'라는 생각을 하신 분들도 분명히 계실 것입니다. 오늘은 바로 그 숫자들의 의미를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야구에는 수비 포지션에 따라 수비번호라는 것이 있습니다. 포지션 별로 다음과 같은 번호가 매겨져 있습니다.
투수: 1
포수: 2
1루수: 3
2루수: 4
3루수: 5
유격수: 6
좌익수: 7
중견수: 8
우익수: 9
슬슬 감이 오시죠? 5-4-3 병살이라는 것은 3루수-2루수-1루수로 송구가 이어지면서 아웃 카운트 두 개를 잡았다는 뜻이 됩니다. 6-4-3 병살은 유격수-2루수-1루수의 합작으로 만들어낸 병살이 되는 것이고요. 만약 투수가 타자가 친 땅볼을 잡아서 2루수에 송구한 후 2루수가 1루수에 송구해서 병살을 만들어냈다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네. 그렇습니다. 바로 1-4-3 병살이 됩니다. 하나만 더 해볼까요? 1루수가 공을 잡아서 2루수에게 전달한 후에 2루수가 다시 1루에 공을 던져서 병살을 만들어낸 경우라면 3-4-3 병살이 됩니다.
항상 숫자 세개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만약에 유격수가 공을 잡은 후에 직접 2루 베이스를 밟고 1루수에 송구해서 더블 플레이(병살)를 만들어냈다면, 6-3 병살이 됩니다.
참고로 통계적으로 가장 많은 병살은 역시 6-4-3 병살입니다. 병살을 만들기 가장 쉬운 경우가 유격수가 땅볼을 캐치해낸 경우라 그렇겠죠?
이 숫자들의 의미만 알아도 야구 경기를 좀 더 재밌게 시청할 수 있겠죠?
'공부 > 야구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이버메트릭스] 643 병살, 463 병살 등에서 숫자들의 의미는? (6) | 2021.04.02 |
---|---|
[세이버메트릭스] 보살과 자살(척살)의 차이, 그리고 수비율 (3) | 2021.03.24 |
[세이버메트릭스] 수비 요소를 배제하고 투수의 실력을 평가해보자, DIPS와 FIP (0) | 2021.03.11 |
[세이버메트릭스] 타석에서 나올 수 있는 결과 중 타자와 투수의 실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반면 운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0) | 2021.03.11 |
[세이버메트릭스] 인플레이 타구가 안타가 될 확률, BABIP (10) | 2021.03.10 |
[세이버메트릭스] 타자의 타율, OPS, 삼진비율, 볼넷비율 중 어떤 것을 가장 신뢰할 수 있을까? (12) | 2021.03.09 |
[세이버메트릭스] 타율, 출루율, OPS, RC 중 무엇이 가장 득점 생산과 연관 있을까? (2) | 2021.03.06 |
[세이버메트릭스] MLB에서 2019까지 1000안타 이상 친 선수 중, 홈런을 2루타보다 더 많이 쳐낸 선수는? (sqlite3) (12) | 2021.03.05 |
[세이버메트릭스] 작년 KBO에서는 평균 연봉이 더 높은 구단이 더 잘했을까? (2019년, 2020년 분석) (6)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