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서버를 사용하다보면 디스크 용량이 꽉 차서 코드 편집이 안 되거나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df
df는 disk free의 약자입니다. 파이썬에 익숙하신 분들은 pandas의 데이터프레임이 생각나실 수도 있겠습니다. ㅎㅎ
df 명령어에 -h 옵션을 붙여주면 조금 더 사람들이 이해하기 좋은 형태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f -h
그리고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df .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f .
참고자료
'PC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rl로 파일 다운로드 받는 방법 (0) | 2023.03.16 |
---|---|
[리눅스] 터미널에서 사용한 명령어 목록 확인 명령어 history (0) | 2023.03.09 |
[ubuntu] 파일 또는 디렉토리 접근 권한 수정하기 (0) | 2022.09.18 |
[우분투] 사용자명 is not in the sudoers file 에러 해결 방법 (0) | 2022.09.17 |
리눅스 서버 (current) UNIX password 의미 (0) | 2022.07.14 |
[우분투] 서비스 실행 상태 확인 명령어 (0) | 2022.01.11 |
[ubuntu]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하는 법 (2) | 2021.07.15 |
[리눅스] 리눅스에서 공인 IP 주소 알아내는 법 (5)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