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처음 웹 개발을 접했을 때 127.0.0.1/index 주소로 웹 브라우저에 웹 페이지가 보여지는 것을 보고 신기해서 친한 친구에게 127.0.0.1/index를 카톡으로 전달하면서 "너도 이거 보이지?"라고 물어본 적이 있다. 안 보인다고 하길래 그러면 192.168.0.8/index를 전달하면서 "그러면 이 주소로는 보여?"라고 물어본 적이 있다.
지금 생각하면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ㅋㅋ
사설 IP 주소를 공유하면서 그 친구도 접근이 가능할 것을 바랬으니 말이다. 공인 IP 주소를 전달해주고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 등을 해줘야지만 접근 가능했을 것이다.
다음 IP 주소들은 모두 사설 IP 대역에 속하는 IP 주소들이다.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0.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이런 주소로는 같은 사설 네트워크 안에서만 접속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같은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 옆 사람의 PC에서는 이러한 사설 IP 주소로 접근이 가능하다.
참고자료
'Research > 컴퓨터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록시(proxy) 서버란?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 (6) | 2023.06.04 |
---|---|
Open API란? OpenAI와 헷갈리지 마세요 (2) | 2023.06.04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소 (0) | 2023.06.03 |
CORS와 관련 있는 preflight request란? (0) | 2023.05.16 |
우리가 카페에서 웹 서핑을 할 수 있는 이유(공인 IP 주소, 사설 IP 주소 그리고 NAT) (0) | 2023.05.02 |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많이 사용되는 JSON 정리 (2) | 2022.11.08 |
웹 서버에 이미지 전송해야 하는 경우, FileZilla (4) | 2022.10.21 |
바닐라 JS, 바닐라 파이썬이 뭐지? 프레임워크인가? (0) | 2022.10.15 |